안티오코스 히에락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오코스 히에락스는 기원전 3세기 헬레니즘 시대의 인물로,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와 라오디케 1세의 아들이자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쿠스의 동생이다. 그는 형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한 후 망명 생활을 하다 살해당했다. 안티오코스는 소아시아에서 독립 왕국을 건설하려 했으나, 페르가몬의 왕 아탈로스 1세에게 여러 차례 패배하며 실패했다. 그는 비티니아 왕의 딸과 결혼했으며, 카파도키아 왕의 딸과도 혼인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세기 사망 -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3세기 사모스 출신 천문학자로, 지구 중심설에 기반한 천체 계산법을 제시한 저서와 더불어 태양 중심설을 주장하여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 기원전 3세기 사망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는 기원전 300년경 고대 그리스 수학자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을 통해 유클리드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유클리드 호제법, 소수의 무한성 증명 등 수론에도 기여하여 서양 수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셀레우코스 국왕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이자 셀레우코스 제국의 창건자로,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 건설에 힘썼으며, 코루페디온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암살당했다. - 셀레우코스 국왕 -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으로, 제2차 시리아 전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테오스' 칭호를 얻었으나, 결혼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제3차 시리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기원전 3세기 통치자 - 나비스
나비스는 쇠퇴하는 스파르타의 국력 회복을 위해 급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내부 반발과 대외 갈등을 야기하여 암살당하고 스파르타는 독립을 잃었다. - 기원전 3세기 통치자 -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는 로마 공화정의 정치가로서, 평민과 귀족 간의 갈등을 종식시킨 호르텐시우스 법을 제정하고, 눈디나에를 디에스 파스티로 지정하는 법률에도 관여했으며, 독재관으로 재임 중 사망했다.
안티오코스 히에락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안티오코스 히에락스 |
로마자 표기 | Antiokoseu Hierakseu |
별칭 | 히에락스 (매) |
출생 | 기원전 263년 경 |
사망 | 기원전 227년 |
아버지 |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
어머니 | 라오디케 1세 |
형제자매 |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 스트라토니케 3세 |
배우자 | 이름 미상 (갈라티아인 추정) |
자녀 | 아리오라테스 4세의 아내 |
통치 | |
통치 시작 | 기원전 241년 |
통치 종료 | 기원전 227년 |
지역 | 소아시아 |
기타 정보 | |
분야 |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자 |
2. 생애
기원전 246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안티오코스는 아나톨리아에 자신만의 독립 왕국을 세우기 위해 형제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와 전쟁을 벌였다. 앙카라 전투에서 형을 패배시키기도 했으나,[8] 페르가몬의 왕 아탈로스에게 하르파수스 전투에서 패배하고 아나톨리아에서 쫓겨났다. 이후 이집트로 망명했으나, 기원전 226년경 강도들에게 살해당했다.
그는 비티니아 왕 지아엘라스의 딸과 결혼했다.[9]
2. 1. 소아시아의 왕
기원전 246년에 아버지가 죽자, 안티오코스는 아나톨리아에 자신만의 독립 왕국을 세우기 위해 형제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와 전쟁을 벌였다.[8] 기원전 239년경 앙카라 전투에서 형을 패배시켰으나,[8] 하르파수스 전투에서 자신을 패배시키고 아나톨리아에서 몰아낸 페르가몬의 왕 아탈로스 때문에 결국 패배했다. 이후 안티오코스는 이집트로 망명했으나, 기원전 226년경 강도들에게 살해당했다.
안티오코스 2세와 라오디케 1세의 막내 아들인 그는 아버지 사망 당시인 기원전 246년에 13세였다. 아버지의 죽음은 제3차 시리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1년 후, 아마도 어머니의 영향으로,[2] 안티오코스는 형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쿠스에게 소아시아를 요구하고, 자신의 영토와 권위를 확장하기 위해 재빨리 독립을 선언했다. 프톨레마이오스 군대와 싸우느라 고전하던 셀레우코스는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2. 2. 형제간의 전쟁
기원전 246년 아버지가 죽자, 안티오코스는 아나톨리아에 자신만의 독립 왕국을 갖기 위하여 형제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와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239년경 앙카라 전투에서 형을 패배시켰다.[8] 그러나 하르파수스 전투에서 페르가몬의 왕 아탈로스에게 패배하고 아나톨리아에서 쫓겨났다. 이후 안티오코스는 이집트로 망명했으나, 기원전 226년경 강도들에게 살해당했다.
241년 셀레우코스는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와 평화 조약을 맺은 후 형제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으려 했다. 히에락스는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2세, 카파도키아의 아리아라테스 3세와 동맹을 맺고, 카파도키아, 비티니아, 갈라티아인을 포함한 아나톨리아 국가들의 연합을 구성했다. 리디아에서 첫 패배를 겪은 후, 기원전 239년경 앙키라 전투에서 형의 군대를 괴멸시키고[3] 소아시아를 통치했다. 그는 그곳에서 주화를 발행했지만, 형 셀레우코스는 파르티아 제국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이란으로 가야 했다.[4]
2. 3. 아탈로스 1세와의 대립
기원전 246년 아버지가 죽자, 안티오코스는 아나톨리아에 자신만의 독립 왕국을 세우기 위해 형제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와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239년경 앙카라 전투에서 형제를 패배시켰으나,[8] 결국 페르가몬의 왕 아탈로스 1세에게 패배했다. 아탈로스는 아프로디시움 전투와 동쪽에서 벌어진 두 번째 전투에서 골족과 안티오코스를 격파했고, 이후 안티오코스 단독으로 벌어진 전투에서도 승리했다. 헬레스폰토스 프리기아에서 안티오코스는 장인으로 추정되는[5] 비티니아의 지아엘라스에게 피난처를 구했다. 기원전 228년 봄, 사르디스 근처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마지막 전투는 카리아 남부, 마안데르 강의 지류인 하르파소스 강둑에서 벌어졌다.[6]
2. 4. 몰락과 죽음
기원전 246년에 아버지가 죽자, 안티오코스는 아나톨리아에 자신만의 독립 왕국을 갖기 위하여, 형제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에게 전쟁을 벌였다. 그는 기원전 239년 경 앙카라 전투에서 자신의 형제를 패배시켜냈다.[8] 그러나 안티오코스는 주로 하르파수스 전투에서 자신을 패배시키고 아나톨리아에서 몰아낸 페르가몬의 왕 아탈로스의 노력 덕에 결국엔 패배했다. 그 뒤 안티오코스는 이집트로 망명을 갔으나, 기원전 226년 경 강도들에게 살해당했다.
기원전 238년경, 안티오코스와 그의 갈라티아 동맹군은 페르가몬을 공격했으나 강력한 통치자 아탈로스 1세와 맞서야 했다. 아탈로스는 아프로디시움 전투에서 골족과 안티오코스를 격파했고, 동쪽에서 벌어진 두 번째 전투에서도 승리했다. 이후 안티오코스 단독으로 벌어진 전투에서도 승리했다. 헬레스폰토스 프리기아에서, 안티오코스는 아마도 장인,[5] 비티니아의 지아엘라스에게 피난처를 구했을 것이다. 기원전 228년 봄, 사르디스 근처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마지막 전투는 카리아 남부, 마안데르 강의 지류인 하르파소스 강둑에서 벌어졌다.[6] 모든 소유를 빼앗긴 안티오코스는 여전히 형이 이란에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에서 형을 대체하려 했다. 그는 결국 실패했고, 기원전 226년 트라키아에서 사망했다.[9]
3. 혼인 관계
안티오코스 히에락스는 두 명의 아내를 두었다.
- 카파도키아의 통치자(아리아라테스 3세 참조)의 딸. 적어도 기원전 230년에는 이 나라와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다.
- 비티니아 왕의 딸. 이 나라도 그와 동맹 관계에 있었다.[9]
이 두 여성은 안티오코스 히에락스가 형인 셀레우코스 2세에 대항하기 위해 동맹을 맺었던 왕족 가문의 딸이었다.
참조
[1]
간행물
Sayings of Kings and Commanders
http://www.attalus.o[...]
[2]
서적
Epitome of the Phillipic History of Pompeius Trogus
[3]
논문
The Power-Transition Crisis of the 240s BCE and the Creation of the Parthian State
https://doi.org/10.1[...]
2016
[4]
서적
L'Anatolie Hellénistique
Armand Colin
2003
[5]
간행물
Epitome of Pompeius Trogus
http://www.attalus.o[...]
[6]
서적
The Attalids of Pergam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71
[7]
간행물
Sayings of Kings and Commanders
http://www.attalus.o[...]
[8]
논문
The Power-Transition Crisis of the 240s BCE and the Creation of the Parthian State
https://doi.org/10.1[...]
2016
[9]
간행물
Epitome of Pompeius Trogus
http://www.attalu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